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Carbon 코드 업데이트: 가능하다면 Carbon을 사용하지 않는 방향으로 코드를 업데이트하십시오. Carbon을 사용하지 않고 Cocoa 또는 다른 현대적인 프레임워크로 전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링크 옵션 제거: -ld_classic 링크 옵션을 제거하십시오. 빌드 스크립트 또는 프로젝트 설정에서 해당 옵션을 검색하여 제거하십시오. macOS SDK 업데이트: 최신 버전의 macOS SDK를 사용하십시오. Xcode를 업데이트하고 프로젝트 설정에서 최신 SDK를 선택해 보세요. 라이브러리 확인: Carbon 라이브러리가 프로젝트에 필요한 경우, 해당 라이브러리를 찾아 프로젝트에 추가하거나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하여 적절한 경로에 위치시켜 보세요. 빌드 환경 확인: 프로젝트..
swiftui를 사용하다보면 이렇게 중복된 코드를 발견한다. 해당하는 중복코드를 ViewModifier 를 사용해 아래처럼 정의를 할 수 있다. ViewModifier는 SwiftUI에서 재사용 가능한 뷰 수정자를 정의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이를 사용하면 여러 뷰에서 동일한 스타일이나 레이아웃을 쉽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ViewModifier를 구현하려면 body 프로퍼티를 제공하는 뷰를 반환하는 body(content:) 메서드를 구현해야 합니다. 위의 코드에서 ThreadsTextFieldModifier는 ViewModifier 프로토콜을 따르며, TextField에 여러 수정자를 적용합니다. modifier 메서드는 View 프로토콜의 일부이며,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메서드로, 사용자 정의 수정..
SwiftUI에서 frame의 순서는 중요합니다. frame은 뷰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며, 다른 수정자들과의 순서에 따라 레이아웃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Text("Login") .font(.subheadline) .fontWeight(.semibold) .foregroundColor(.white) .background(.black) .frame(width: 352, height: 44) 현재 코드에서는 먼저 .frame(width: 352, height: 44)을 적용하고, 그 다음에 .background(.black)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배경 색이 설정된 후에 크기가 변경되므로, 원하는대로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아래와 같이 .background(.bl..
Info.plist에서 Appearance : Dark 로 설정하면 다크모드만 지원한다. 반대로 Light 는 라이트 모드만 지원하는 앱으로 만든다. https://dev-geeyong.tistory.com/30 ios] xcode app 다크모드 적용 끄기 시뮬레이터나 실제 디바이스에서 다크모드가 켜 있을 때 제작한 앱이 다크모드까지 디자인을 안한 경우 위 사진처럼 info.plist에서 UIUserInterfaceStyle dev-geeyong.tistory.com 옛날에 써놓은 방법이 안돼서 위 방법을 찾았다.
TestService라는 swift 코드를 class, func 앞에 @objc를 붙여 작성을 한다. 해당 클래스를 사용할 objective-c 파일에서 이런식으로 -Swfit를 붙여 선언을 해주면 #import 이렇게 swfit에 존재하는 클래스,함수를 옵씨에서 사용 가능하다.